Computer Science(컴퓨터 과학)


운영체제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프로세스 실행 중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개념이 인터럽트(Interrupt)이며, 효율적인 작업 처리를 위해 스레드(Thread)가 활용된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인터럽트의 개념과 처리 과정, 그리고 스레드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인터럽트(Interrupt)1.1 인터럽트란?인터럽트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고, 운영체제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이는 예상치 못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시스템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럽트는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법이지만, 과도한 인터럽트는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1.2 인터럽트의 종류인터럽트는 발생 원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시스템 도메인을 정의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한다. 이후 요구사항을 분석한 뒤,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설계를 진행하는데, 이를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활용하여 시각화한다. UML 작성 과정에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작업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한 후,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설계한다. 이후, 객체 간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모델링하기위해 인터랙션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데, 여기에는 순차 다이어그램과 통신 다이어그램이 포함된다.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는 모든 UML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필요는 없으며, 프로젝트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핵심적인 부분만 선택하여..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는 중요한 소프트웨어다. 그 중에서도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운영체제는 이를 프로세스로 관리하게 된다. 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자원(메모리, CPU 시간 등)을 할당받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 자원이 효율적으로 분배된다. 프로세스 관리를 통해 운영체제는 각 프로세스가 공정하게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최소 실행 단위다.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스레드는 프로세스의 자원을 공유하면서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함께 관리되어야 하며 스레드를 잘 활용하면 여러 작업을..


운영체제는 한마디로 시스템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모두 모아서 이야기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구성요소를 다루는데에는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것이 아니지만 알게 된다면 컴퓨터의 시스템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운영체제가 어떻게 구조되어있고 운영체제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운영체제의 구조 컴퓨터는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운영체제(OS)는 커널(Kernel), 시스템 호출(System Calls), 유틸리티(Utilities)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먼저, 커널(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요소로,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관리, 메모리 관리 등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가장 빈번..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먼저 시스템 도메인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유스케이스(Use Case) 를 도출하며, 이후 클래스 설계(Class Design),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Interaction Diagram), 배포 다이어그램(Deployment Diagram) 등의 다양한 설계 산출물로 발전한다. 다이어그램(Diagram)이란 쉽게 말해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을 활용하면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 방식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유스케이스 도출 단계는 프로젝트의 방향과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과정이다. 이번 글에서는 UML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에 대해..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오늘은 운영체제의 주요 개념과 역할, 그리고 그 발전 과정을 살펴보겠다. 1. 운영체제의 역할운영체제라는 개념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해,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여 원활한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운영체제는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편리성), 자원 관리(효율성), 시스템 관리(보안 및 안정성)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시스템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배하며, 보..


2000년대 이전까지 소프트웨어 개발은 전문가들의 영역이었지만, 점차 일반인들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이 등장했으나, 변화하는 기술을 따라가지 못하거나 비효율적인 개발 방식(예: 폭포수 모델)으로 인해 경쟁에서 밀려났다. 반면, 일부 기업은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며 생존했다.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기존의 통합 프로세스를 따르지 않고, 빠른 개발과 유연한 조직 문화를 구축했다. 특히 구글은 긴 회의를 지양하고, ‘스크럼(Scrum)’을 활용해 신속한 개발을 진행했다. 이러한 방법론은 이후 ‘애자일(Agile)’로 정착되었으며, 빠르게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반복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기존보다 훨씬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해졌다. 대표적..


소프트웨어 개발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도전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개발 과정에서 사람은 실수를 저지를 수 있으며, 요구사항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개발이 완료되었다고 해서 모든 작업이 끝난 것이 아니다. 이후에도 유지보수와 수정이 필요하며, 새로운 요구사항에 따라 기능을 확장하거나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폭포수 모델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들에 대해 살펴보겠다. 1. 진화적 프로세스 모델 가장 먼저 소개할 모델은 진화적..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다. 단순히 무작위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지만, 이는 확장성과 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조를 여러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하면 확장성을 확보하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 대표적인 표준 모델이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이다. OSI 모델을 따르는 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지만, 이를 준수하면 데이터 통신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계층을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각 계층이 제공해야 하는 필수 기능이 유지되어야 하며, 계층 통합은 확장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번 포..


과거의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절차를 거쳤다. 예를 들어, 단순한 계산을 실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한 후 최소 6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사용 언어가 다르면 언어 변환 과정에서 추가 시간이 필요했다.이러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 현대의 컴퓨터 시스템은 연산을 분할하고 최적화하는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자리잡고 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프로그램 실행의 조율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한다. 이번 포스터는 이에 대해 운영체제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현대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응용 프로..


빅데이터 처리는 단순한 데이터 처리와 달리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일반 데이터보다 더 많은 시간과 다양한 고려사항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데이터의 생성부터 수집, 저장, 처리, 분석, 표현까지 전체 과정에서 특화된 기술들이 사용된다. 본 포스터에서는 이러한 전체적인 처리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빅데이터의 종류 및 수집 방법 등 세부 항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자 다.1. 빅데이터 전체 처리 과정 빅데이터 처리의 기본 흐름은 데이터 소스 → 수집 → 저장 → 처리 → 분석 → 표현의 순서를 따릅니다. 각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과 방법이 활용된다.과정영역개요생성내부 데이터데이터베이스(Database), 파일 관리 시스템(File Management System)외부 데이터인터넷으로 연결된 파..


빅데이터는 단순히 방대한 정보 집합이 아니라, 그 활용 여부에 따라 엄청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효과적인 빅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빅데이터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를 기반으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빅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핵심 개념 및 최신 동향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1. 데이터 변화 최근 몇 년간 데이터의 양과 접근성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과거 PC 중심의 시대를 지나,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데이터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생성되고 소비되고 있다. 실제로 2025년과 불과 5년 전을 비교할 때, 데이터 증가는 지수함수적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7년부터 전 세계에서 생..


소프트웨어 개발은 체계적인 접근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무계획적이고 즉흥적인 방식으로 개발하는 대신, 명확한 계획과 절차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테스트(test)를 포함한 다양한 관리 기법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듈(Moduel)화다. 모듈화는 시스템을 개별 단위(unit)로 분리하여 개발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들고, 확장성 및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validation(유효성 검사)과 verification(검증)과 같은 절차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체계적인 개발 및 관리 방법을 대표하는 모델 중 하나가 바로 V모델이다. V모델은 순차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따르면서도 각 단계에서 테스트와 검증을 철저히 수행하여, 전체..


네트워크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 OSI 모델이 있다. 이 모델은 데이터 통신을 이해하고 설계할 때 유용한 참조 모델이다. 반면, 5계층 모델도 존재하는데, 이는 7계층을 단순화한 형태로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통신에서 계층 구조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통신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OSI 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1. 계층화된 임무 데이터 통신은 계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우리가 우체국을 통해 편지를 보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편지를 작성하고, 이를 봉투에 넣고, 우체국을 통해 발송하면, 수신자는 편지를 개봉하고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는 특정한 절차를 거쳐..


소프트웨어는 단순히 프로그래밍 코드의 집합이 아니다. 소프트웨어에는 원시 코드뿐 아니라, 자료구조, 데이터베이스 설계, 테스트 결과와 같이 개발 과정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결과물은 물론, 각 단계에서 작성되는 문서와 사용자 매뉴얼 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 개발 전반에 공학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학문 분야가 바로 소프트웨어 공학(Software Engineering)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은 기획,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배포 등 전체 개발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번 글에서는 계획(Planning)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1. 소프트웨어의 이해 소프트웨어는 단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원시 ..


1. 데이터 표현데이터는 문자, 숫자,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디지털 환경에서 0과 1의 비트 패턴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된다.문자 데이터: 문자는 비트 패턴을 이용해 부호화되며, 이를 표준화하기 위해 아스키(ASCII) 코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스키 코드만으로는 다양한 언어와 기호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확장된 문자 인코딩 방식인 유니코드(Unicode)가 도입되었다.이미지 데이터: 이미지는 픽셀(pixel) 단위로 표현되며, 각 픽셀은 특정한 색상 값을 가진다.음성 및 동영상 데이터: 음성과 동영상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특정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저장 및 전송된다.2. 네트워크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1.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 개요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는 이미 구축된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주요 내용은 프로토콜의 개념과 필요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통신 기법을 프로그래밍에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2. 데이터통신 개념 -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최소 두 명 이상의 정보 송·수신자가 존재하며,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 데이터(Data): 정보 생성자와 소비자 간의 공유를 위해 만들어진 것. 3. 정보 전달의 신뢰성 요소 - 전달(Delivery):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도달해야 함. - 정확성(Accuracy): 송신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가 동일해야 함. - 적시성(Timeline..

1. 순환 탐색 알고리즘이란?순환 탐색 알고리즘은 데이터가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경우(Loop or Cycle), 이를 탐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순환 구조란 연결된 데이터들이 특정 지점에서 다시 시작점이나 이미 방문한 지점으로 돌아오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 알고리즘은 그래프, 연결 리스트, 배열 등 순환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에서 활용된다. 2. 순환 탐색의 주요 원리시작점에서 탐색: 데이터 구조의 임의의 지점(노드, 인덱스 등)에서 탐색을 시작한다.방문 기록: 이미 방문한 지점을 저장하여 중복 방문이나 무한 루프를 방지한다.순환 확인: 특정 시점에서 시작점으로 돌아오거나 이미 방문한 지점을 재방문하면 순환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종료 조건: 순환이 확인되거나 탐색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

스택(Stack)은 자료구조의 한 종류로,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구조 중 하나다.스택은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로, LIFO(Last In, First Out) 원칙을 따른다. 이는 한쪽 끝으로만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구조로, 접시를 쌓거나 종이를 쌓는 방식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바구니를 쌓아두는 방식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맨 위에 있는 바구니가 가장 먼저 꺼내지는 것처럼, 스택에서도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처리된다. 이러한 스택의 원리를 컴퓨터에 적용하면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스택의 개념과 활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1. 개요스택은 한쪽 끝(Top)에서만 데이터를 삽입하고 제거할 수 있는..

1. 기하학적 처리 영상처리 - 기하학적 처리 - 1(확대, 축소)기하학은 도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학문이다. 이를 활용하여 디지털 영상의 화소(픽셀) 데이터를 조작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기하학적 변환을 이insight0591.tistory.com 영상처리 - 기하학적 처리2(회전, 역상)기하학적 처리는 이미지를 변형하여 새로운 모양으로 만드는 작업으로, 이미지 회전, 축소, 확대, 뒤집기(역상) 등이 포함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하학적 처리 중 회전과 역상에 대해 자세히 알insight0591.tistory.com 2.워핑과 모핑 영상처리 - 워핑과 모핑TV에서 누군가의 얼굴이 과장되거나 변형되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재미를 ..

영상 처리에서 영상 압축은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RGB 형식으로 저장될 때, 이를 압축하지 않고 RAW 데이터로 저장하면 파일 용량이 매우 커진다. 반면, JPEG와 같은 압축 기술을 사용하면 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예로 들어, 100MB의 RAW 이미지를 JPEG로 압축할 경우, 대체로 10MB에서 50MB 정도로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압축이 클수록 사진이 뭉게진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상 압축 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영상압축의 2가지 방법영상 압축에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무손실 압축과 손실 압축이다.무손실 압축은 데이터 손실 없이 압축되므로, 압축 후에도 영상의 품질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압축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이미지는 공간 영역에서 픽셀 단위로 데이터를 다루지만, 주파수 영역에서는 이미지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방식은 공간 영역의 문제를 주파수 영역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이미지 압축, 노이즈 제거, 엣지 검출 등 다양한 작업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이러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처리를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1. 주파수란? 주파수는 영상의 밝기나 색상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여기서 빠르게 변한다는 의미는 픽셀 값의 변화와 관련있는 내용이다. 데이터를 읽어나가는데 이것은 변화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것이 주파수 영역에서의 처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주파수 성분을 통해 영상에서 다양한 특성을..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동영상은 사실 여러 기술들이 결합된 결과다. 그 중 하나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이는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처음에는 생소할 수 있지만, 이 개념이 동영상에 적용되면 우리가 보는 동영상 콘텐츠가 된다. 또한, 이 기술이 실시간 채팅에 적용되면, 우리가 사용하는 실시간 채팅 앱으로 변환돤다. 이번에는 동영상을 어떻게 읽고, 그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1. AVI(Audio Video Interface)AVI는 여러 개의 스트림으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 형식이다. 쉽게 말해, AVI 파일은 동영상을 의미하며, 반드시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포함하고, 동일한 스트림을 여러 번 포함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의 AVI 파일은 압축되어 ..


TV에서 누군가의 얼굴이 과장되거나 변형되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 요즘에는 핸드폰 어플에서도 흔히 활용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얼굴 변형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워핑(warping)과 모핑(morphing)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1. 워핑(Warping) 개요영상 처리 분야에서 워핑은 이미지를 변형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다. 워핑은 입력 영상의 픽셀 위치를 제어선을 이용해 변위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인 회전, 이동, 확대/축소와는 달리 워핑은 위치 이동과 동시에 이미지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이 기법은 위성 영상이나 영화에서 물체, 동물, 배우의 모습을 변형하는 등에 쓰이고 있다.1.1 워핑의 자세한 방법워핑을 하는 방법은 가장 먼저 제어..


기하학적 처리는 이미지를 변형하여 새로운 모양으로 만드는 작업으로, 이미지 회전, 축소, 확대, 뒤집기(역상) 등이 포함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하학적 처리 중 회전과 역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1. 회전회전은 이미지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돌리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특정 각도로 정렬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으로 사진 편집, 객체 인식, 또는 데이터 증강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회전 작업은 수학적으로는 간단하게 보이지만 실제 구현에서는 약간 어려운 측면이 있다. 회전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중심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미지의 회전은 원점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점을 지정해야 원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


기하학은 도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학문이다. 이를 활용하여 디지털 영상의 화소(픽셀) 데이터를 조작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기하학적 변환을 이용한 영상처리 기법 중 확대 축소에 대해 알아보겠다. 1. 기하학적 처리란?기하학적 처리는 영상의 화소 위치를 변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확대, 축소, 회전, 이동과 같은 변환이 포함된다. 이 과정을 통해 영상의 모양을 변형하거나 원하는 크기와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2. 확대(픽셀 복제 방법)확대는 영상의 크기를 키우는 작업이다. 이는 주어진 픽셀 값을 복사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픽셀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보겠다:100110120130이 배열을 2배로 확대하려면,..

분산시스템(Distributed System)의 개요 - 1"분산 시스템"이란 여러 독립적인 컴퓨터나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하여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분산"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물리적으insight0591.tistory.com 분산 시스템은 현제 필수적이면서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다. 이에 대해 이전 포스터에 이어서 자세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1. Distributed(분산형) vs. Centralized(중앙형) Systems분산형은 중앙형보다 더 좋은 이점을 가져온다. 분산형은 인터넷, 인트라넷과 같은 기술을 현실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시스템은 중앙형보다 더 나은면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충분히 존재한다. 예로 들어 보안문제가..

"분산 시스템"이란 여러 독립적인 컴퓨터나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하여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분산"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주로 네트워크와 관련된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분산 시스템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1. 분산시스템의 소개분산 시스템의 정의 - A.S. Tanenbaum과 M.V. Steen 여러 독립적인 컴퓨터들이 모여 사용자에게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처럼 보이는 시스템(= 단일 관점 시스템)분산 시스템은 middlewares(미들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미들웨어 계층은 여러 기계에 걸쳐 확장된다.예시: Internet (인터넷), Intranets(인트라넷), Mob..

1. 빅데이터의 개념 빅데이터란?요즘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는 단순히 '데이터'라고 불렀던 것을 이제는 '빅데이터'라는 말로 대체하여 사용하곤 한다. 그렇다면 빅데이터란 정확히insight0591.tistory.com 빅데이터의 절차와 사례1빅데이터란?요즘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는 단순히 '데이터'라고 불렀던 것을 이제는 '빅데이터'라는 말로 대체하여 사용하곤 한다. 그렇다면 빅데이insight0591.tistory.com 빅테이터의 사례(2)와 미래빅데이터란?요즘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는 단순히 '데이터'라고 불렀던 것을 이제는 '빅데이터'라는 말로 대체하여 사용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