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통신의 개요

2025. 3. 4. 15:45
반응형

1.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 개요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는 이미 구축된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주요 내용은 프로토콜의 개념과 필요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통신 기법을 프로그래밍에 적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2. 데이터통신 개념

-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최소 두 명 이상의 정보 송·수신자가 존재하며, 데이터를 공유하는 과정.

- 데이터(Data): 정보 생성자와 소비자 간의 공유를 위해 만들어진 것.

3. 정보 전달의 신뢰성 요소

- 전달(Delivery):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도달해야 함.

- 정확성(Accuracy): 송신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가 동일해야 함.

- 적시성(Timeliness): 서비스 특성에 따라 데이터가 적절한 시점에 도착해야 함.

- 파형 난조(Jitter): 일정한 전송 속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과도한 변동이 없어야 함.

4. 통신 방식

 

- 단방향(Simplex): 한쪽에서만 정보 송신 가능 (: 자판과 모니터).

- 반이중(Half-Duplex): 양방향 통신 가능하지만,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송수신 가능 (: 무전기).

- 전이중(Full-Duplex): 동시에 양방향 통신 가능 (: 휴대폰).

5.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필수 요소

 

1) 송신자(Sender):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

2) 수신자(Receiver): 데이터를 받는 주체.

3) 전송 매체(Medium):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경로.

4) 메시지(Message): 송신자가 전달하는 정보.

5) 프로토콜(Protocol):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칙 및 절차.

 

이와 같은 것은 데이터 통신의 모든 것들이다. 이와 같은 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작동시켜야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작동시킨 것인지 등등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데이터 통신이라는 것이다. 

 

출처: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Behrouz A. Forouzan - 교보문고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킹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TCP/IP 프로토콜의 각 계층은 하위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product.kyobobook.co.kr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