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네트워크 모델(1) - OSI 모델의 개요

2025. 3. 11. 16:10
반응형

네트워크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 OSI 모델이 있다. 이 모델은 데이터 통신을 이해하고 설계할 때 유용한 참조 모델이다. 반면, 5계층 모델도 존재하는데, 이는 7계층을 단순화한 형태로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통신에서 계층 구조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통신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에서는 OSI 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1. 계층화된 임무

 

데이터 통신은 계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우리가 우체국을 통해 편지를 보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편지를 작성하고, 이를 봉투에 넣고, 우체국을 통해 발송하면, 수신자는 편지를 개봉하고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는 특정한 절차를 거쳐 송신되고 수신된다.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식으로 변환되고, 올바르게 저장되며, 적절한 경로를 따라 전달된 후, 수신 측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OSI 모델과 5계층 모델 모두 이러한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네트워크 모델의 핵심 역할은 이러한 데이터 전송 과정을 구조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OSI 모델의 각 계층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다.

 

2. OSI 모델

 

OSI의 모델은 위와 같다. 순서대로 데이터는 Application으로 출발하고 Physical에 도착한다. 위와 그 아래 계층과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OSI 모델은 데이터가 Application 계층에서 시작하여 Physical 계층에 도달하는 일련의 단계를 따른다. 이 과정에서 각 계층은 상위 및 하위 계층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서로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통신은 각 계층이 반대편의 대응 계층과 상호 작용하는, 흔히 "대등-대-대등 프로세스"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OSI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지원 계층 (계층 1, 2, 3):

이들 계층은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물리적 측면을 담당한다.

  • 사용자 지원 계층 (계층 5, 6, 7):

이 계층들은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 전송 계층 (계층 4):
    네트워크 지원 계층과 사용자 지원 계층을 연결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 지원 계층에서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와 같이 OSI 모델은 각 계층이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전체 통신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출처: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 예스24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킹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TCP/IP 프로토콜의 각 계층은 하위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축된 상향식 접근방법을

www.yes24.com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